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유동성지표
- 금융중개기관
- 금융감독의 세 가지 유형
- 테일러준칙
- 러너의 독점도
- 2018
- 비효율시장가설
- 경제원론
- 코즈의 정리
- Selfie Studio
- 통화의 개념
- 목동사진관
- 셀프스튜디오
- 자연독점
- 포토스튜디오기역
- 거시건전성 감독
- CPA경제학
- 시스템리스크
- CPA
- 은행위기
- 금융중개기관의 역할
- 셀프사진관
- 미시건전성 감독
- 영업행위 감독
- 건전성 규제
- 경제학
- 포토스튜디오
- 최적관세
- 외채위기
- selfie
Archives
- Today
- Total
알고시픈경제
포트폴리오 밸런스 모형 본문
ㅇ 중화개입
- 외환당국의 외환시장개입에 의한 외환변화가 유발하는 본원통화의 변화를 국내자산이나 부채의 거래를 통해 완전히 상쇄시키는 것을 의미.
ㅇ 주요결론
- 자산의 불완전대체성을 고려하는 포트폴리오 밸런스 모형에서는,
1. 중앙은행의 불태화 개입이라 하더라도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2.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을 실시할 때, 외화자산을 거래하는 경우와 국내자산을 거래하는 경우의 효과가 상이하다.
3.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이 분리되어 운영될 수 있다.
* 포트폴리오밸런스모형이 비록 국제적 자본이동에 제도적 제약이 없다고 하더라도, 1. 거래비용, 2. 자산의 불완전대체성 및 위험기피성향 등으로 인한 위험프리미엄이 존재한다면 실제 국제적 자본이동성이 완전하지 못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. 이처럼 포트폴리오밸런스모형이 국제적 자본이동이 완전하지 못한 경우를 설명하기 때문에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이 분리되어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삼원불가능성정리가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