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경제학
- Selfie Studio
- 영업행위 감독
- 자연독점
- 경제원론
- CPA경제학
- 외채위기
- 테일러준칙
- 포토스튜디오기역
- 유동성지표
- 금융중개기관
- 최적관세
- 셀프사진관
- 2018
- 목동사진관
- 통화의 개념
- 코즈의 정리
- 미시건전성 감독
- selfie
- CPA
- 시스템리스크
- 금융감독의 세 가지 유형
- 셀프스튜디오
- 러너의 독점도
- 비효율시장가설
- 건전성 규제
- 은행위기
- 포토스튜디오
- 거시건전성 감독
- 금융중개기관의 역할
Archives
- Today
- Total
알고시픈경제
신고전적 생산함수 본문
- 리카도 모형에서는 노동을 유일한 생산요소로 취급한 데 비해서 신고전적 생산함수는 노동(L) 이외에 자본(K)을 생산요소로 포함하고 있다.
ㅇ 등량곡선과 등비용선
- 등량곡선이라 함은 어떤 동일한 양의 산출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생산요소의 모든 조합, 즉 자본과 노동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선이다.
- 기술적 한계대체율이라고 부르는 등량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은 같은 양의 Y재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노동 한 단위를 증가시킬 경우 그 대가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본의 양을 나타낸다.
- 등비용선이란 동일한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선을 말한다.
- 등비용선이란 동일한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선을 말한다.
ㅇ 생산가능곡선
- 생산가능곡선이란 주어진 생산요소와 생산함수를 가지고 생산해 낼 수 있는 두 재화의 최대생산량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선이다. 따라서 어떤 한 나라의 생산가능곡선은 그 나라에 부존된 생산요소의 양과 생산기술에 의해서 결정된다.
- 그림 3-4의 곡선 OxA0B0C0Oy는 모든 Y재의 생산량에 대해 이러한 생산극대화 점을 연결한 선이며, 우리는 이것을 효율적 생산곡선이라고 부른다.
- 그림 3-4를 통해 볼 수 있듯이 효율적 생산곡선상에서 X재와 Y재의 등량곡선은 서로 접하게 된다. 따라서 효율적 생산곡선상에서 두 재화의 등량곡선의 기울기인 MRTSLK가 동일해진다.
- 어떤 한 국가에 대해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요소부존량과 등량곡선으로 대표되는 각 재화의 생산 기술이 주어질 경우 우리는 그 국가의 생산가능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.
'국제무역론 > 요소부존도와 헥셔올린모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헥셔-올린이론의 주요정리 (0) | 2018.12.27 |
---|---|
존슨다이어그램 (0) | 2018.12.22 |
스톨퍼-사무엘슨 정리 (0) | 2018.12.20 |
생산가능곡선의 형태와 사회무차별곡선 (4) | 2018.1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