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Selfie Studio
- 은행위기
- 2018
- selfie
- 통화의 개념
- 러너의 독점도
- 테일러준칙
- 금융감독의 세 가지 유형
- 미시건전성 감독
- 금융중개기관
- 금융중개기관의 역할
- 비효율시장가설
- 유동성지표
- CPA
- 셀프사진관
- 코즈의 정리
- 포토스튜디오
- CPA경제학
- 시스템리스크
- 거시건전성 감독
- 경제원론
- 외채위기
- 목동사진관
- 경제학
- 영업행위 감독
- 최적관세
- 자연독점
- 셀프스튜디오
- 건전성 규제
- 포토스튜디오기역
Archives
- Today
- Total
알고시픈경제
IS-MP-IA모형 본문
ㅇ 금리준칙을 반영한 총수요모형
1. 등장배경
- 금리위주의 통화정책이 보편화됨에 따라 기존의 통화량중심의 IS-LM모형에 대한 대안적 모형이 요구되었다.
- 인플레이션타게팅을 채택한 많은 국가들이 테일러준칙을 금리결정의 준거로 사용하고 있음을 고려하여, 새케인즈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금리결정과정을 모형 내에 내생화시킨 모형을 만들고자 하였다.
* MP : monetary policy, IA : inflation adjustment
ㅇ MP곡선의 도출
- 가정 : 중앙은행은 명목이자율의 조정을 통해 실질이자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한다.
- 성질
1. MP곡선은 테일러 준칙을 담고 있으며 분석의 편의상 GDP gap을 (Y - Yn)으로 나타내었다.
- LM곡선과의 비교
LM곡선과 MP곡선은 모두 우상향한다. LM곡선이 우상향하는 것은 소득이 증가할 때 화폐수요가 증가하므로 화폐시장의 균형회복을 위해 이자율을 내생적으로 상승해야 하기 때문이다.
그러나 MP곡선은 소득이 상승할 때 중앙은행이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량 및 이자율을 정책적으로 상승시켜 대응하는 과정을 포함한다.
'거시경제학 > 경기변동이론의 발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D-DAS모형 (0) | 2018.12.16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