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시경제학/국민경제의 구조와 거시경제변수들의 이해

참 혹은 거짓(답은 문제 아래을 드래그 하세요)

알시경 2019. 12. 9. 23:00

1) 소비자 물가지수(CPI)는 일반 물가수준을 과대평가(overstate)하는 경향이 있다.

답 : 참.

2) CPI가 물가상승을 과대평가하는 이유는 물가지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가중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.

답 : 참.

3) 쌀의 일부는 최종재로 쓰이고 다른 일부는 떡과 같은 최종재의 생산을 위해 중간재로 사용된다. 따라서 쌀 중에서 얼마만큼이 최종재로 쓰이는지를 조사하지 않고서는 GDP의 계산이 불가능하다.

답 : 거짓.

4) 국내총생산의 집계는 실제로 최종재의 가치를 계산하고 이를 합계함으로써 가능하다.

답 : 거짓.

5) 집값이 5억에서 10억으로 상승하면 부가가치가 5억 생산되었으므로 GDP는 그만큼 증가한다.

답 : 거짓.

6) 실질GDP의 크기는 기준 연도가 바뀜에 따라 달라지지만, 실질 GDP의 증가율은 기준 연도가 바뀌어도 변함이 없다.

답 : 거짓.

7) 공무원의 임금이 상승하면 그만큼 GDP도 증가한다.

답 : 참.

8) CPI는 GDP 디플레이터에 비해 물가의 변화를 항상 과대 평가한다.

답 : 거짓.

9) 총생산은 항상 총지출과 일치한다.

답 : 불확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