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폐금융론/신흥시장국의 금융위기
신흥시장국 금융위기의 전개과정
알시경
2018. 12. 19. 09:26
ㅇ 1단계 ; 금융위기의 촉발
- 금융자유화와 금융글로벌화의 관리실패
- 심각한 재정 불균형 ; 만성적 재정적자로 정부 채무 불이행 위험 증가
--> 금융기관 대차대조표 악화(부실), 불확실성 증가, 이자율급등, 자산가격 폭락
* 1단계는 선진국과 유사
ㅇ 2단계 ; 외환위기
- 위기를 감지한 외국자본 유출
; 투기자들이 해당국가의 통화를 대규모로 매도 -> 시장에 자국통화가 매물로 쏟아져 나오면 공급이 수요를 초과
-> 자국통화가치 폭락(환율 대폭상승) -> 외환위기 즉 외화, 달러가 급속히 고갈되는 위기 발생
* 선진국의 경우 2단계는 은행위기지만 신흥시장국의 경우 외환위기
ㅇ 3단계 ; 전면적 금융위기
- 신흥시장국의 경우 많은 채무계약을 달러로 표시하고 있어(통화불일치) 자국 통화 가치가 줄어들면(평가절하, 환율상승) 기업의 채무부담이 증가 -> 기업의 역선택과 도덕적위험 증가 -> 은행의 위기 -> 대출 축소 -> 경제활동 위축
* 선진국의 경우 3단계는 채무디플레이션이지만 신흥시장국의 경우 전면적 금융위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