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폐금융론/이자율의 위험구조와 기간구조
이자율의 위험구조
알시경
2018. 12. 19. 09:14
ㅇ 이자율의 위험구조(동일한 만기를 가진 채권들이 다른 이자율을 가짐)
ㅇ 채무불이행 위험 : 채권의 발행자가 이자지불 또는 액면가를 지불할 수 없거나 지불할 의사가 없을 가능성
- 위험 프리미엄 : 동일한 만기를 가지면서 채무불이행 위험이 있는 채권의 이자율과 채무불이행 위험이 없는(risk-free) 채권 (미국 재무부 채권)의 이자율 간의 스프레드
* 2단계 : 재무부 채권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.
* 3단계 : 재무부 채권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회사채 가격을 하락시킨다. 이에 따라 재무부 채권의 이자율은 상승하고 회사채 이자율은 하락하여 회사채 이자율과 재무부 채권이자율 간 스프레드는 증가한다.
ㅇ 유동성
- 자산이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상대적 용이성
- 채권의 매도 비용 ; 유동성이 높은 미국 재무부 장기채권이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회사채보다 매도 비용이 적음(채권시장에 존재하는 매입자와 매도자의 수 때문에)
ㅇ 소득세 부과여부
- 지방채에 대한 이자지불은 연방소득세 부과가 면제되어 있따. 따라서 지방채의 수요 증가(미쿡얘기)